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델마다 적절한 CFG 값은 다르다
    배움/ComfyUI 2025. 6. 5. 12:00
    반응형

     

    왜 모델마다 CFG 값이 다를까?

    1. 모델 학습 방식 및 데이터셋:
      • 다양성 vs. 충실도: 각 모델은 특정 데이터셋으로 학습되며, 이 과정에서 프롬프트에 얼마나 "엄격하게" 따르도록 학습되었는지에 따라 CFG 값의 민감도가 달라집니다. 어떤 모델은 기본적으로 프롬프트에 더 충실하게 학습되었을 수 있고, 어떤 모델은 더 창의적이고 다양한 결과물을 내도록 학습되었을 수 있습니다.
      • 정규화/안정성: 모델의 내부 구조나 정규화 방식에 따라 CFG 값을 높였을 때 아티팩트(왜곡, 노이즈)가 발생하는 지점이 다릅니다.

    2. Fine-tuning 및 LoRA:
      • 기존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스타일이나 특정 대상을 학습시킨 Fine-tuned 모델이나 LoRA(Low-Rank Adaptation) 모델은 원본 모델과 다른 CFG 민감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나 스타일을 매우 충실하게 재현하도록 학습된 모델은 비교적 낮은 CFG 값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범용적으로 학습된 모델은 원하는 디테일을 얻기 위해 더 높은 CFG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샘플링 방법 (Sampler):
      • Euler, DPM++ SDE Karras, DDIM 등 다양한 샘플링 방법(Sampler)이 있으며, 이 샘플러들의 특성도 CFG 값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정 샘플러는 높은 CFG 값에서도 안정적인 반면, 다른 샘플러는 낮은 CFG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4. 프롬프트의 복잡성 및 상세도:
      • 매우 상세하고 구체적인 프롬프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CFG 값에서도 프롬프트의 의도를 잘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짧고 추상적인 프롬프트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더 높은 CFG 값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높으면 아티팩트 발생 가능성 증가)

    일반적인 CFG 값 범위 (참고용)

    • Stable Diffusion 1.5 계열 모델: 보통 7~10 사이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예: 7, 7.5, 8, 9)
    • Stable Diffusion XL (SDXL) 계열 모델: SDXL은 일반적으로 SD 1.5보다 낮은 CFG 값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통 4~7 사이가 권장됩니다. 이는 SDXL 모델 자체가 더 강력하고 프롬프트 이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 특정 파인튜닝 모델/LoRA: 개발자나 커뮤니티에서 권장하는 CFG 범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 및 권장 사항

    따라서, 새로운 AI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는 다음 단계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1. 모델 제공자 또는 커뮤니티의 권장 CFG 값 확인: 모델을 다운로드하거나 사용할 때, 보통 개발자나 사용자들이 추천하는 CFG 값 범위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2. 작은 범위에서 테스트: 권장 값을 기준으로 1~2 정도씩 낮추거나 높여가면서 소량의 이미지를 생성해보고 가장 좋은 결과를 주는 값을 찾아봅니다.
    3. 샘플러와 함께 실험: CFG는 샘플링 방법과도 상호작용하므로, 여러 샘플러와 CFG 값을 조합하여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AI 이미지 생성은 실험의 과정이므로, 모델과 프롬프트에 맞는 최적의 CFG 값을 찾는 것은 중요한 튜닝 작업입니다.

     

    반응형

    '배움 > Comfy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ble Diffusion 이란?  (3) 2025.07.03
    CFG별 AI 이미지 생성 테스트  (0) 2025.06.06
    Classifier-Free Guidance, CFG란  (1) 2025.06.04
    ComfyUI  (2) 2025.05.2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