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데이터야놀자 2024] 행사 참여 후기배움/기타 개발 이야기 2024. 6. 4. 02:44
이벤터스 링크 데이터야놀자 2024 - 이벤터스데이터를 다루는 모든 사람들의 축제! 데이터야놀자 2024event-us.kr 우연한 기회로 '데이터야놀자(이하 데놀)'라는 행사에 참여하게 되었다.데놀은 무려 2016년부터 진행된 유서깊은(?) 행사로,오픈소스와 커뮤니티 정신을 기반으로 하고어울림, 참여, 즐거움을 중시한다고 한다. 최근에야 이 행사를 알게 되었는데,타임테이블을 보니 흥미로운 강의들이 많아 얼른 듣고 싶어져 신청하게 되었다. 예전에 '인프런'이라는 온라인 강의 사이트에서 주최한 행사를 참여한 적이 있는데 그 때와 비슷하게여러 강의가 병렬적으로 진행이 되면 그 중에 하나씩 고르는 식이었다. 데놀 2024의 타임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이 중에서 나는..1. 영상 크리에이터 파헤치기2. 금융 ..
-
'사람이 연기하는거 아니야?' 진~짜 사람같은 GPT-4o의 등장AI 뉴스 2024. 5. 14. 14:45
바로 어제인 5월 13일, OpenAI에서는 새로운 ChatGPT의 버전을 내놓았다.이름하여 GPT-4o, 여기서 o는 'omni (옴니)'의 첫 글자를 따와서 지었으며,옴니는 곧 '모든 것'을 뜻한다.왜 모든 것이냐? 하면, 입출력값으로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를 모두 받고 내보내기 때문이다.일단 영상 하나를 보고 시작하자.GPT-4o, 'Happy Birthday.'정말 사람이 말하는 것 같다.기존에도 GPT 앱에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은 있었지만,이번 버전에는 몇 가지 돋보이는 장점들이 있다. 1. 현격히 줄어든 연산 시간.기존에는 사람이 질문을 한 후에, GPT가 이를 듣고 처리하고, 실제로 말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려서 사람이 답변을 '기다렸다'.그런데 이번 버전에서는 그 시간이 실제 사..
-
[TED] AI Is Turning into Something Totally New배움/영어 2024. 4. 23. 22:12
출처 : https://youtu.be/KKNCiRWd_j0?si=zzFqED9u6dedbT4m Mustafa Suleyman - CEO of Microsoft AI 강연에서 슐레만은 AI가 마이너한 한 분야에서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 어떻게 발전했는지 설명한다. 그런 다음 AI를 도구나 비서 정도로 묘사하는 다양한 은유를 논의한다. 그러나 슐레만은 이러한 은유가 정확하지 않다고 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AI의 전체 잠재력을 과소평가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슐레만은 AI를 새로운 디지털 종으로 비유한다. 그는 AI가 생물학적 종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끊임없이 배우고 진화하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인간이 설계하고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션이 끝난 후 이어진 Q&A 시간에서 진행자는 무스타..
-
신이마미야역 근처 아침&점심 먹기 좋은 저렴한 일본 가정식집 추천삶/여행 2024. 2. 23. 19:00
이름 다이토라 식당 (Daitora Shokudo) (다이토라 야키니쿠라는 야키니쿠 집과 혼동하지 말 것) 위치 오사카 신이마미야역 근처 구글맵: https://www.google.com/maps/place/Daitora+shokudo/@34.6491507,135.5020126,17z/data=!3m1!4b1!4m6!3m5!1s0x6000e761fc4b3cdd:0x4ee77fd7ae8c7449!8m2!3d34.6491507!4d135.5020126!16s%2Fg%2F1tfpplb1?entry=ttu 가격대: 5000원 ~ 10000원 운영시간 수요일은 정기휴일. 08:00 ~ 12:30 (브레이크타임) 17:00 ~ 19:30 점심식사를 하려면 반드시 일찍 방문해야 한다 메뉴 - 돈지루 정식 (돼지고기 ..
-
[AI 신경학 - 3] 비지도학습과 지도학습생각/AI 2024. 2. 20. 19:00
우리는 외계 행성에 착륙하여 이곳의 토착 생물군을 연구하는 학자들이다. 이 외계 행성에는 처음 보는 다양한 외계 생명체들이 존재한다. 우리가 이름을 붙이기 전에는 모두 정체불명의 '괴생명체'일 뿐이다. 하지만 이름이 없어도 날개가 있어 날아다닌다던지, 물 속에 산다던지 등 대~충 특징에 따라 분류를 크게크게 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분류하면 학자에 따라 주관적으로 판단이 되기 때문에 그 기준에 대한 갑론을박이 펼쳐질 것이고, 오랜 토론을 거쳐 점점 그 기준이 명확히 세워질 것이다. 이렇게 데이터만 주어지고 정확히 어떻게 구분할지 기준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 그 경계를 명확히 세우려는 과정을 '비지도학습'이라 부른다. 반대로 지도학습은, 처음부터 어떤 특징을 가졌으면 어떻게 부를 것이라는 약속..
-
[AI 신경학 - 2] 학습생각/AI 2024. 2. 17. 19:00
인간에게나 인공신경망에게나, 학습을 한다는 것은 곧 목표를 달성하기에 더 적합한 알고리즘으로 수정해나간다는 의미이다. 사람은 끊임없이 학습을 한다. 거창한 학습일 필요 없이, 아기가 걸음마를 배우는 법과 같이 사소한 학습 또한 포함된다. 예로, 두뇌가 '이렇게 몸을 움직이라고 지시하면 걸음마를 성공할 것이다'라는 걸음마 알고리즘을 예측 및 설계하고, 이렇게 설계된 알고리즘에 맞게 몸을 움직였을 때 성공 혹은 실패의 결과를 내놓게 된다. 넘어지는 등 실패를 하면 이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걸음마 알고리즘을 수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성공의 결과를 꽤 안정적으로 내놓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게 되면, '걸음마를 하는 방법을 학습했다'라고 할 수 있다. 다시, 학습을 한다는 것은 목표한 바를 이루기에 더 적합한..
-
[AI 신경학 - 1] 모델생각/AI 2024. 2. 14. 19:00
모델은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히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의미한다. 인간과 비교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예시를 구성해보았다. 어떤 한 인간 A가 있다. A는 특정 분야에 숙련된 전문가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숙련된 전기기사라고 가정하겠다. A는 명백히 회로와 전압, 전류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이다. 이해도가 높다는 말은, 전기적 문제에 대한 정답을 제대로 예측할 확률이 높음을 의미한다. A는 이러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훌륭히 그 역할을 수행해낸다. 하지만 A가 처음부터 전기적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지닌 것은 아니다. 학생 시절, 전기기사가 되겠다는 목적을 가졌을 것이고, 이 목적에 맞게 적절한 자격증도 따고 경험도 쌓으며 이해도를 끌어올렸을 것이다. A가 학생에서 ..
-
[AI 신경학 - 0] 서론생각/AI 2024. 2. 11. 19:00
인공신경망과 자연신경망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인공신경망은 반대 개념인 자연신경망, 즉 (특히 인간의) 뇌의 작동 방식을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신경망을 의미한다. 뇌의 정보 전달체의 기본 단위인 뉴런을 모방한 인공 정보전달체를 인공신경망에서는 퍼셉트론(Perceptron)이라 한다. 그 기본 구성 단위부터 뇌를 모방하였기에, 이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신경망의 작동 방식 또한 뇌의 작동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성 이론을 적용한다면 꽤나 흥미롭게도, 인간을 통해 인공신경망을 이해하고, 인공신경망을 통해 인간을 이해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숨은 특성을 예측하기까지도 할 수 있을 것이다.